최우선 변제 적용 시점_경매의 시작

경매에서 임차인들이 받아가는 배당금까지 계산할 수 있다면 명도도 조금은 편한 마음으로 접근 할 수 있다.  `소액 임차인 최우선 변제`에 관한 내용과 관련 사례 하나를  소개한다.    참고 싸이트 :  https://support.klac.or.kr/front/contents/07/006.do 1.최우선 변제금  `소액 임차인 최우선 변제`혜택을 볼 수 있는`소액 임차인의 범위`와 `배당액`은 등기부 상의 최고 근저당 설정 일자를 기준으로 정해진다._  대법원. 02.3.29  경매가 진행되는 현재는 소액 임차인에 해당되지만 `구법 (최초 근저당 설정년도 법률 기준)`에는 소액 임차인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. 다시 말해  근저당권자 ( `구법` 하에 설정된 근저당권자)에게 변제권을 주장 할 수 없단 뜻이다.  (예)  A 아파트 2001년 7월19일 근저당이 설정. 2002년 4월 7일 보증금 4천 만원에 임차인 들어 옴. 현행법으로는 분명 소액 임차인이지만 위의 표에 근거해 살펴보면 1995.10.19~2001.9.14 서울 소액 임차인 한도는 보증금 3천만원이다. 소액 임차인이 아니라는 뜻이다.  만약 3천만원 이하로 보증금 설정을 했더라면 규정상  1200만원까지는 배당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. 아래 사례 속 채무자는 이를 잘 알고 있었고 임차인으로 설정을 여러 개로 해 놓고 낙찰자를 기다린 케이스였다.    2.첫 명도 20대 초반 어린 나이에 경매를 시작한 나는 처음 학원 강의실에 들어 섰을 때 사람들의 시선을 기억한다. 누군가는 집에 막둥이 보다 어리다며 신기해 하셨고, 누군가는 새파랗게 어린 게 돈 독이 올랐다며 탐탁치 않게 보았다.  먹지 않은 나이를 어디서 살 수도 없는 노릇이기에 열심히 공부만 하던 어느날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내가  짠해 보이였지  한 어르신이 말을 걸어 주셨다...

배당액, 先확인 後투자 가능해진다.

OECD 국가 중 `배당 예측도`가 가장 낮은 한국 투자 시장을 외국 투자자들은 `깜깜이 투자 시장`이라 비하한다. 23.01.31일 정부는 이러한 세계적 오명을 벗으며 중 장기적인 투자 시장이 조성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한다 공고하였다.       



선진국-대비-한국-주가수익비율

선진국-대비-한국-배당-성향비율



<개선안 내용>

1. 결산 배당 구조 개선

기존 : 기업들은 결산 말일이 되야 배당 받을 주주를 확정하며 배당액은 다음 해 3월 개최하는 정기 주총에서 결정했다. 다시 말해 배당 받을 주주가 확정되는 시점에는 배당액 정보를 알 수가 없었던 것이다. 


개선: 배당 받을 자를 정하는 `배당 기준일`을 `분리`하여 주주 총회일 이후로 `배당 기준일`을 정할 수 있도록 개정된다. 


배당기준일-개정전-일정표

배당기준일-개정 후-과정표
<용어>
  • 배당기준일: 매년 마지막 날인 12월 31일. 하지만 국내 시장은 12월31일은 휴장일. ->하루 전인 12월31일이 실질적 배당 기준일이다. 
  • 배당락: 결산 기일이 지나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 주가의 상태.
  • 배당이익: `특정` 영업 년도의 경영 성과 배분이 아니라 그 결산기까지 `누적`된 경영 성과의 배분이다. (다시 말해 특정 결산기 말일의 주주가 배당 받아야 할 이유는 없다.)

2. 상장회사 분기배당


기존: 회사는 3.6.9월 말 일의 주주에게 말일부터 45일 이내 개최하는 이사회 결의 (배당액확정)로 배당 가능하도록 하고 있었다. (선배당->후배당액확정)

개선: 분기 배당 절차도 선배당 후배당 기준이 가능하도록 자본 시장법을 개정한다. 

  •  3.6.9월 말일의 주주를 배당 받은 주주로 정한 내용은 우선 삭제하여 배당 결정하는 이사회 결의일 이후로 배당 기준일을 정한다. 이로 인해 기업이 배당금 지급 준비 기간이 부족할 수 있어 기간 역시 20->30일로 연장한다. 

3. 기업의 적극적 협조 유도

  •  표준 정관: 기업의 정관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. 개선 방안을 반영한 상장사 표준 정관 개정안을 마련하여 정관 개정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.

  • 기업지배구조 보고서: 배당 절차 개선 여부를 `기업 지배 구조 보고서`에 공시하도록 하여 투자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. 

4. 기대 효과

  • 자본 시장 선순환 구조 마련 가능
  • 장기 투자 환경이 조성되어 증시 변동성 완화 가능. 
  • 시장 효율성 제고 가능 
투자-일정-리스트